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러시아 연방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항공 산업 === ||<tablewidth=500><nopad>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40px-Sukhoi_Su-47_Berkut_%28S-37%29_in_2001.jpg|width=100%]]|| || [[Su-47]], 2001년 MAKS 에어쇼 || 러시아는 소련 때부터 군 전력 강화의 일환으로 항공산업을 적극적으로 육성해왔고[* 특히나 독소 전쟁을 거치며 공군의 중요성을 느끼게 되었으며, 냉전시대에는 미국을 잡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대양을 건너야 했기에(또는 대양에서 건너오는 미군을 대양에서 상대해야 했기 때문에) 항공산업이 더더욱 발전하게 되었다.], 소련 자체가 워낙에 넓었던데다가 비행기값도 왕창 쌌던 시절이었기 때문에 민수용으로도 수요가 많았다.[* 소련의 [[플래그 캐리어]]였던 [[아에로플로트]]는 1970년대에 연간 승객 100,000,000명을 돌파한 세계 최대 항공사였다.] 비록 지금은 세계적인 명성을 얻고있는 [[보잉]]이나 [[에어버스]]에 많이 밀렸지만, 과거 소련 시절부터 공산권 및 제3세계에 [[투폴레프]], [[안토노프]], [[일류신]]을 비롯한 여객기 및 수송기를 적극적으로 수출하고 [[미그]], [[수호이]], [[야코블레프]] 등 고등전투기를 설계할 만큼 뛰어난 항공산업을 갖추고 있으나 오늘날에는 미국, 유럽계 항공회사들이 민항기 시장에서 밀린 상황이다. 현재는 그나마 경쟁력이 있는 것은 서방 경쟁기종이 아예 없는 초대형 화물기이고 그나마도 [[우크라이나]] 국적의 [[안토노프]] 제품이다 보니[* An-124의 설계와 마케팅은 안토노프가, 제조는 러시아의 아비아스타르가 했다.]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의 관계가 경색된 이후에는 생산과 판매가 막힌 상태이다. 그나마 항공무기 쪽에서는 [[Su-47]]같은 전진익 실험기나 [[Su-57]]같은 스텔스 전투기를 독자적으로 개발하고 세계 각국에 수출할 만큼 발전된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대부분 국가가 국가원수 [[전용기(항공기)]]로 서방제 비행기를 쓰지만 [[블라디미르 푸틴]]은 국산 비행기인 [[Il-96#s-4]]을 사용한다. 대통령이 모범을 보인다는 제스처긴 하지만 못 믿을 정도로 부실한 기술력은 아니라는 것이다. 이미 여객기와 수많은 전폭기를 생산해낸 품질로 시장성만 되면 얼마든지 베스트셀러를 뽑아낼 기반은 된다는 뜻이다. 헬리콥터의 경우에 군사헬기는 안정성과 유틸성 등 소프트 스팩과 유지비가[* 소련은 특유의 공산주의 경제시스템 때문에 실업을 인정하지 않으려는 경향이 있었다. 이 때문에 끊임없이 공장을 돌릴 수밖에 없었는데 그러려면 절대로 튼튼한 부품을 만들 필요가 없다. 따라서 공장을 계속 돌려 내구도가 떨어지는 대신 가격이 싼 부품을 대량 생산해서 부품이 고장나면 수리하는 마인드가 아니라 그냥 교체하는 마인드였다. 이런 방식은 현재에도 유효해서 값싼 도입가격에 비해 유지비는 서방제에 비해 1.5배에서 정도 높다. 그렇지만 이런 방식을 택해도 어차피 전체 비용은 서방제와 비슷하다. 싸게 구입해서 비싸게 굴리냐, 비싸게 구입해서 싸게 굴리냐 선택의 문제일 뿐.][* 러시아제가 항공기나 헬기가 개발도상국에 많이 수출되는 이유중하나가 바로 초기도입가가 싸다는 것이다. 비슷한 서방제에 비해 싸서 몇대를 더 도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고 높은 유지비는 가동률을 낮춰서 어느 정도 감당할 수 있기때문] 서방제에 비해 떨어지지만, 싼 도입가격과 무식할 정도로 강한 내구도와 내구연한, 극한의 환경에서도 잘 버티는 우수한 적응성으로 인해 현재에도 많은 국가에서 산불 진압 등 민간분야에서 활약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대한민국의 산림청 소방헬기만 봐도 [[불곰사업]] 때 들어온 기종으로 도배가 될 정도다. 또한 냉전 당시에는 헬리콥터를 통한 대규모 전술도 구사했을 만큼 여러 기종을 체계적으로 만들었기 때문에 제 3세계나 민간헬기 분야에선 인기가 높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